분류 전체보기 28

[mac] ora-01033: oracle initialization or shutdown in progress

ORA-12547: TNS:lost contact 이런 오류가 나 ora-01033: oracle initialization or shutdown in progress  노트북을 재시작하고 sqlDeveloper 접속 하려고 하니 계속해서 이런 오류가 떴다. 구글링했더니 오라클 DB가 초기화나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라고 해서 기다렸는데..이거 뭔 반나절이 돼도 접속이 안됨 🤬 DB에 접속해서 무슨 이상이 있는지 로그를 살펴보고, 데이터 베이스를 수동으로 재시작을 해야할 것 같았다.난 맥유저라 도커로 오라클을 접속해야했다. 1.  오라클 이미지 pull (설치) 하기docker pull jaspeen/oracle-xe-11g 2.  이미지를 컨테이너에 실행시키기docker run --name oracle1..

트러블슈팅 2024.05.08

Docker 명령어

도커(docker) 명령어버전 확인$ docker -v이미지 다운로드$ docker pull [이미지 명]다운로드된 이미지 목록$ docker images컨테이너 생성$ docker create [옵션] [이미지 명]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$ docker run [옵션] [이미지 명]컨테이너 실행$ docker start [컨테이너 명]컨테이너 재실행$ docker restart [컨테이너 명]컨테이너 접속$ docker attach [컨테이너 명]컨테이너 정지$ docker stop [컨테이너 명]실행중인 컨테이너 목록$ docker ps정지된 컨테이너 목록$ docker ps -a컨테이너 명 변경$ docker rename [기존 컨테이너 명] [새로운 컨테이너 명]컨테이너 삭제$ docker rm [..

Docker 2024.05.08

🐳 Docker 란?

Docker 란?docker 란 Go 언어로 작성된 리눅스 컨테이너 기반으로 하는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. 향상된 컴퓨터의 성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이 많이 등장하였다.서버 관리자 입장에서 CPU 사용률이 10%대 밖에 되지 않는 활용도가 낮은 서버들은 리소스 낭비일 수 밖에 없다.그렇다고 모든 서비스를 한 서버 안에 올린다면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.그래서 안정성을 높이며 리소스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나타난게 서버 가상화이다.대표적인 가상화 플랫폼으로는 VM 이 있다. 그렇다면 컨테이너란 무엇일까? 컨테이너란?컨테이너는 가상화 기술 중 하나로 대표적으로 LXC( Linux Container ) 가 있다.기존 OS를 가상화 시키던 것과 달리 컨테이너는 OS레벨..

Docker 2024.05.08

[에러] Invalid options object. Dev Server has been initialized using an options object that does not match the API schema.

이더넷 케이블 구성에서 IP주소가 비공개라 값을 가지고 오지 못하기 때문이라네요..env파일에 DANGEROUSLY_DISABLE_HOST_CHECK=true를 넣으면 해결된다고 합니다. 아무튼 프론트엔드 루트 폴더 (package.json 있는곳)에 .env 파일을 생성해줍니다.DANGEROUSLY_DISABLE_HOST_CHECK=true  이런식으로 넣어주면 됩니다.     [출처] : https://velog.io/@black-pepper/Invalid-options-object.-Dev-Server-has-been-initialized-using-an-options-object-that-does-not-match-the-API-schema

Frontend/error 2024.05.01

Controller - service 리팩토링

1. Controller 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Filter, interceptor 그리고 controllerAdvice a. Filter filter 는 servlet 컨테이너에서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기 전후에 동작하는 기능. 인코딩 변환, 보안 체크, 로깅 등의 작업을 수행 filter 는 Servlet 컨테이너에 등록되며 Spring Security를 사용한다면 Dispatcher Servlet 앞 단에서 적용됨. b. Interceptor Interceptor는 Spring MVC 요청 전후에 동작하는 기능. c. ControllerAdvice 2. DTO 계층적 분리 DTO 는 Data Transfer Object 로 계층 간 데이터 교환 혹은 데이터 전송 객체를 의미. 계층적인 모델링을 구축할..

SpringBoot 2024.04.16

[react] useNavigate 를 통해 이동시 URL쿼리파라미터 가져오기

navigate를 통해 페이지를 이동할 때, navigate(`/eatMate/mateForm?category=${category}`, {state: {place}}); 쿼리 파라미터를 읽기 위해서는 useSearchParams 훅을 사용할 수 있다. 이 훅을 사용하면 URL의 쿼리 파라미터를 쉽게 읽고 수정할 수 있다. const [searchParams, setSearchParams] = useSearchParams(); const category = searchParams.get('category');

Frontend/react 2024.04.16

[#1] 트러블 슈팅 (react)

1. 문제 상황 서로 다른 두 페이지에서 같은 버튼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이였다. wishList 부분에서 메이트 신청 버튼 부분과 restaurantList 부분에서 메이트 신청 버튼 부분에서 같은 폼으로 각 페이지에서 고른 Place의 정보를 넘겨주는 상황에서 문제 발생 2. 어떤 문제인가..🫨 처음에는 위시리스트에서 메이트 신청 버튼 사용 상황을 생각하지 못하고, 맛집리스트에서 localStorage 를 이용해 place의 정보를 저장했었다. const newPlaceData = { placeId: placeData.id, placeName: placeData.place_name, placeAddress: placeData.address_name, placeRoadAddress: placeData.ro..

트러블슈팅 2024.04.09

[#0] 트러블슈팅

트러블 슈팅이란? 트러블 슈팅이란 무언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「트러블 슛」이라 불리기도 합니다. TV・비디오와 같은 가전과 PC 매뉴얼에는 무언가 이상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 장애・결함에 대한 대책이 따로 기재된 설명서를 볼 수 있습니다. 이런 항목, 대책을 상세하게 정리해둔 책자를 트러블 슈팅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. 트러블 슈팅 그 자체는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문제 해결 수법이지만, 주로 기계 장치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문제 해결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글에서는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트러블 슈팅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 트러블 슈팅이 필요한 이유 시스템과 프로그램의 결함과 이상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. 그 상태나 원..

트러블슈팅 2024.04.09